본문 바로가기

일상 이슈 및 정보

소주 한 병 6,000원 시대 오나?

소주 한 병 가격이 이제 6천원이 될지 모르겠다. 아마 거의 그럴 각이긴 하다. 

소주 한 병 6000원 시대 임박

소주 6천원
짠 한번에 1500원 각

왜 오르나?

진로, 롯데칠성같은 제조회사의 소주 출고가가 오를 가능성이 매우 큰데, 출고가가 오른다면 소주를 갖고 와서 파는 식당에에서는 안그래도 월세나 최저임금이 올라 가게 경영이 어려우니 소주가격이라도 올려서 비용을 조절해야 되기 때문이다. 

출고가는 왜 오르는데?

소주 한 병을 구성하는 원료인 주정 가격, 공병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. 

소주는 아니지만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작년대비 1L당 30.5원 오른 885.7원이 될 예정이다. 작년에는 1L당 20.8원 오른 걸 생각하면 거의 50% 더 오른 셈이다. 세금이 오르면 제조회사에서는 당연히 출고가를 올릴 수 밖에 없다. 

그럼 소주도 주세가 올랐나? 

아니. 소주는 주세 안올랐다. 제조원가가 올랐다. 소주의 원료인 주정회사가 작년에 10년 만에 주정 가격을 7.8% 올렸다.

주정회사 돈 많이 벌었겠네? 

그건 아니다. 주정의 원재료가 되는 타피오카 가격이 오른데다 제조과정에 필요한 에너지 가격이 올랐기 때문에 주정회사도 작년에 오히려 영업이익이 줄어들었다고 한다. 그렇기 때문에 이익 보전을 위해 주정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. 

또한, 소주 병 만드는 업체도 공급 가격을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% 이상 인상한 바 있다. 

위와 같은 현실 때문에 작년에도 출고가가 올랐지만 올해도 또 오를 가능성이 높다. 

시장경제 논리로 가격이 오르는 거라 국가에서 컨트롤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다. 

출고가가 100원 오르면 마트에서는 120~150원 오르게 되고 그걸 떼와서 파는 식당에서는 보통 500원, 1000원 단위로 올리기 때문에 아마 올해 말에는 대부분의 업체에서 6000원 이상 받고 있을 것 같다. 일부 월세 비싼 동네에서는 7000원 하는데도 많을 것 같다.

술 안좋아해서 다행이다.